회복적 철학과 페다고지를 바탕으로 회복적 정의를 놀이와 활동 중심으로 가르치고 배우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. 비판적 교육학과 페미니스트 교육학 이론을 바탕으로 학습자와 교수자가 힘을 공유하며 성찰하는 회복적 페다고지를 실천할 수 있는 섬세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. 회복적 실천가가 자기돌봄과 함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소개한다. 회복적 정의의 사회 변혁성과 사회 운동성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확장된 회복적 실천가의 정체성을 제시한다.
목차
추천의 글-사회정의와 평화운동의 시작점
옮긴이의 글-대화는 객체를 주체로 변화시킨다.
한국어판 서문-회복적 정의의 가치를 따르는 실천가
1장. 도입
이러한 가르침의 기술이 회복적 정의 교육에 필요한 이유
용어에 대하여
각 장에서 다룰 내용
2장. 회복적 페다고지 회복적 가치와 원리에 따라 가르치기
해방을 위한 교육 - 비판적 페미니스트 페다고지
해방 교육- 회복적 정의 교육
3장. 경험학습과 회복적 정의
경험학습이란
경험학습으로 회복적 정의를 교실에서 가르치기
4장. 회복적 배움 공동체
회복적 공동체 세우기
회복적 배움 공동체
회복적 의례와 놀이
5장. 가르침을 위한 준비
나 알기
P.A2.I.R.: 마음챙김에 기반한 회복적 접근
정체성 기록지, 교육철학, 자기평가 및 수업평가
공감하는 능력 키우기
학습자 알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