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서 · 교구 구입

연구개발도서·교구 구입
공동체가 새로워지는 회복적 생활교육을 만나다
박숙영 지음 좋은교사 2014년 12월 22일 출간
책소개
억압이나 강제, 협박과 수치심에 기반한 생활지도가 어째서 학생들을 더 청개구리로 만드는지, 그러한 메커니즘이 왜 소용이 없는지를 낱낱이 해부하고 성찰하는 지점에서부터 시작한다. 지난 4년간 회복적 생활교육을 현장에 적용하고 연구한 것을 토대로 연수와 강의를 이어가면서, ‘연결’과 ‘공감’, ‘이해’와 ‘존중’이 곧 새로운 공동체로 거듭나는 열쇠임을 발견하게 된다. 이 책은 우리가 왜 이제는 이러한 선택들로 갈 수밖에 없는지를 경험과 배움을 토대로 말해준다.
목차
추천사 - ‘회복의 교육’을 통한 ‘교육의 회복’을 꿈꾸며
프롤로그 - 교사가 진정 원하는 것

1장 한계에 부딪힌 생활지도
1. 길 잃은 교사
2. “나는 올바른 지도법을 배운 적이 없다”
3. 행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?
4. 폭력을 부르는 감정, 수치심

2장 아이들을 마음으로 만날 수 있을까
1. 처벌이 아닌, 자발적 책임으로
2. 신뢰와 존중이 깃든 생활교육
3. 모두에게 안전한 학급으로 가는 길
4. 서로 존중하는 관계일 때 받는 선물

3장 회복이 있는 학급 공동체 만들기
1. 아픔을 같이하고 함께 나아가다
2. 관계가 우선인 학급
3. 있는 그대로 만날 때 비로소 변화한다
4. 갈등이 성장과 배움의 기회가 되다
5. 동등함이 주는 힘, 서클회의
6. 모두가 동의한 규칙일 때 즐겁다

4장 교사가 변화할 때 성장하는 아이들
1. “저희가 진정 원하는 건, 게임이 아니에요.”
2. 교사는 공간을 창조하는 자
3. 끊임없이 질문하고 대화하기
4. 협력을 이끌어 내는 교사의 리더십
5. 가해자-피해자 구도에서 벗어나기

5장 한 학급의 작은 도전이 세상을 바꾼다
1. 생생한 변화의 목소리가 들린다
2. 빛과 그림자, 둘 다를 끌어안기
3. 회복적 사회의 지름길을 만드는 교사

에필로그 - “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할 뿐이야”
부록 - 한국 회복적 정의 네트워크 단체 소개
평화비추는숲
2011
  • 7,9월 KAC & 좋은교사운동 협력 교사 워크숍
  • 회복적 생활교육 용어 사용
  • 회복적생활교육 연구회 시작
  • 한국 RJ 시민사회 네트워크 참여
  • 10월 (사)좋은교사운동 토론회 [생활지도의 새로운 패러다임 회복적 생활교육을 제안한다]
연락처 070·4222·0557 ( 오전 10시 ~ 오후 6시 / 공휴일 휴무 )
이메일 forestoflight21@gmail.com
경기도 용인시 명지로116번길 9-88 (우)17058 Copyright © 평화비추는숲. All Rights Reserved.
※ 평화비추는숲 홈페이지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, 무단 전재, 복사, 배포 등을 금합니다. Made ♡ Postree Studio